충청도 앉은굿의 구성
아리톡
0
62
2024.08.13 22:39
앉은굿으로 많이 행하는 경우가 가정의 행운을 기원하는 안택(安宅)굿이다.
안택굿을 하는 경우에 대개 다음과 같은 순서로 거행한다.
1) 조왕(王)굿
부엌을 관장하는 조왕신을 위한 굿이다.
부정경과 태을보신경을 읽고 조왕경을 읽는다.
2) 당산(堂山)굿
집안을 수호하는 터주신를 모신 장독대에서 거행한다. 부정경과 태을보신경을 읽고 당산경과 칠성경을 읽는다.
3) 성주(成造)굿, 조상(祖上)굿, 제석(帝釋)굿
방안에서 집안을 수호하는 성주신을 위해 거행한다. 부정경과 태을보신경을 읽고 성주경을 읽는데 성주경은 성주받이라고도 한다.
이어서 집안의 조상을 위한 조상경을 읽고, 인간의 수명을 관장하는 제석신을 위한 제석경을 읽는다.
4) 대감굿
마당에서 대감신을 위해 거행한다.
5) 신굿
각종 신을 위한 신경(神經)을 읽는 굿이다.
6) 사혼제(死婚祭)
결혼하지 못하고 죽은 처녀, 총각 귀신을 위한 굿이다. 예전의 전통 혼례식 처럼 상을 차리고 인형으로 만든 처녀와 총각을 결혼시킨다.
7) 진오기
자리거둠이라고도 하는데, 죽은 조상을 위한 굿이다.
8) 손님굿, 홍역굿, 배상굿
천연두를 관장하는 손님과 홍역을 관장하는 홍역신, 그리고 각종 병환을 관장하는 배상신을 위한 굿이다.
9) 삼신(三神)굿
출산(出産)을 관장하는 삼신을 위한 굿이다.
10) 용왕(龍王)굿
샘경 혹은 용궁제(龍宮祭)라고도 하는데,
물을 관장하는 용왕신을 위한 굿이다.
11) 상문굿
마당에서 하는데, 잡귀잡신을 위한 굿이다.
12) 미친굿
개비경이라고도 하는데, 미친 이를 위한 굿이다.
13) 거리제
마을 입구에서 하는데, 굿에서 대접하지 못한 거리의 잡귀잡신을 위한 굿이다.
[이 게시물은 아리톡님에 의해 2024-08-16 21:46:24 무속칼럼에서 이동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