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낭? 선왕? 성황?

서낭? 선왕? 성황?

아리톡 0 274
  • 사용자가 올린 이미지

서낭? 선왕? 성황?

서낭신은 민속종교에서 토지와 마을을 수호하는 신으로 해석됩니다.

지역에 따라서는 경계 또는 이정표의 기능을 하며,
돌무더기를 쌓아 서낭으로 모십시다.

서낭당은 대부분 고갯마루나 한길 옆, 마을 어귀 등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낭의 어원에 대해서 뚜렷이 밝혀진 것이 없으나,

바닷가 부근에서는 항해의 안전과 풍어를 좌우하는 선신(船神)을 강원도 해안지역에서는 배성조(成造), 배성주라 하지만,

그 밖의 해안지역에서는 배서낭(船王)이라 하고,
배 선(船)자를 써서 선황당(船隍堂)이라고 표기하는 곳이 많고

육지쪽은 이룰 성(成)를 써서 성황당(城隍堂)일고 쓰는 것을 많이 볼 수 있는데 이는 서낭의 순수 우리말을 한자 표기로 성왕(成王)으로 표기 한 것이 아닌가 추측 해 봅니다.

그 밖어 서낭의 한자 표기는 축문이나 위패 등의 자료를 살펴보면 성황(城隍), 성황(城皇), 성황(聖皇), 선왕(仙王), 선앙(仙央), 선낭(仙娘), 선왕(先王), 성황(誠隍), 선황(仙皇) 등으로 되어 있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학설에는 중국의 성황신앙에서 우리 서낭신앙이 발생하였다는 설이 있고,

또 하나는 우리나라에 고대로부터 천신숭배신앙, 산악숭배신앙, 수목숭배신앙, 암석숭배신앙 등이 어우러져 조성된 고유의 토속적 민족신앙으로서의 서낭신앙이 있었으며,

따라서, 중국의 성황신앙이 고려 초에 전래되자 서낭신앙의 ‘서낭’을 ‘성황’이라 표기하였을 뿐 중국의 성황신앙과는 하등관계가 없다는 설이 지배적인 설입니다

서낭제는 마을 주민들이 주체가 되어 서낭신에게
한 해 동안 마을의 안녕과 농어업의 풍요 및 제액초복을
기원하는 동제입니다.

그밖에 사람들이 서낭당 앞을 지날 때 돌을 던지거나 침을 뱉으면 재수가 좋다는 속설이 있고,

정월에는 횡수막이로 동정을 뜯은 가족의 옷과 제물을 차려 놓고 무당을 불러 서낭굿이나 별신굿을 하며 정성을 드려 서낭대를 세우고 소지를 태우며 마을의 풍흉과 미래를 점치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서낭신이 마을수호신으로 공동체 의례의 대상이 될 때는 지역에 따라 전승 양상이 다른데요.

강원도와 경상도의 산간과 동해안 지역에서는 마을수호신으로 모시며, 흔히 골매기서낭이라고 부릅니다.

서낭신에 대한 관념은 다양한데요^^
골매기 서낭은 남녀 신으로 나뉘기도 하는데,

이런 경우 서낭굿에 이어 하후굿(화해굿)을 하여 두 신을 결합시키면서 풍요를 기원합니다

처음 마을에 들어와 개척한 입향 시조를 골매기 서낭으로 모시기도 하며,

동해안 지역에서는 외부에서 들어온 서낭신도 있는데,
강릉시 강문과 심곡의 여서낭은 모두 바다에서 들어온 신이라고 하며 이 밖에 삼척시 갈남서낭은 백호라고 모시고 있습니다.

특이 한것은 평안도 서낭굿에서는 서낭신이 나라에 해를 주는 자리곰방을 허물을 가려내어 벌을 주기도 하며 더욱 광범위한 지역수호신의 성격을 드러내고 있고요

황해도 지방의 서낭은 지역수호신이 아니라 모든일의 문과 길을 열어 나쁜 액을 막아 주는 신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무가(巫歌) 문서를 보면...

고루고루서낭 마루마루서낭
산을 타던 서낭
골을 타던 서낭
동남서북서낭
길 위에 서낭 길 아래 서낭
수살서낭 남경서낭 북경서낭 사신서낭 행차서낭 남서낭 여서낭 수풀서낭 덤불덤불서낭 너울너울 서낭 받아날제 감기고 뿔서낭 몸살서낭 걸립서낭

열기행차 서낭님들 서낭에 길을 열어 상산부군 안암 받아
우 높은 서낭 좌 높은 서낭
산에 가면 산신덕 입고 동서사방 길 재수주고
물에 가면 용궁 소망주어 어마대길 길진 잡아
만리용마 낚아타고 뜬 귀는 소렴하소사
”라고
하는 부분이 있는데

이는 서낭에서 인간이 왕래하는 모든 길을 열어 주는 신인 동시에 마을 수호신인 부군이나 산신의 하위신적 성격을 보여 주는 것으로 보입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