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신제(山神祭)
아리톡
0
70
2024.08.13 11:33
산신제(山神祭)
집터를 지키는 터주신(地神)이 있고, 집을 지키는 성주가 있는가 하면,
부엌을 지키는 조왕신이 있듯이, 산에는 역시 산을 지키는 산신이 있습니다.
산신은 그 지역의 수호신 개념이라고 이해하면 좋겠습니다.
산신의 모습은 흔히 신선이나 호랑이 상으로 나타냈는데,
예전에는 호랑이를 산군(山君)님이라고 부르며 위하기도
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는 호구마마등 우리에게 위협적인 존재를 오히려 신으로 승격화해서
산신은 그 지역의 수호신 개념이라고 이해하면 좋겠습니다.
산신의 모습은 흔히 신선이나 호랑이 상으로 나타냈는데,
예전에는 호랑이를 산군(山君)님이라고 부르며 위하기도
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는 호구마마등 우리에게 위협적인 존재를 오히려 신으로 승격화해서
소원성취 기원하는 맥락과 같은 개념으로 해석됩니다.
따라서, 산신제는 산소를 쓰거나 산소에 제사를 지내거나
따라서, 산신제는 산소를 쓰거나 산소에 제사를 지내거나
혹은 산을 다룰 때는 반드시 산신에게 제사를 지내야 했으며,
이 산신제의 내력을 살펴보면 매우 오래되었습니다,
기록에 의하면 신라는 이미 3산5악에,
그리고 고려는 송악산과 남산 등에 춘추로 산신제를 지냈는데,
이 풍속은 다음의 조선으로 이어져 내려와 국가의 태평을 비는 산신제로 맥을 이어 왔습니다.
지금도 이 풍속이 남아 있어 산을 다룰 때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 산신제를 지내고 있는 것 같습니다.
덧붙이자면,
불교가 사찰을 세울때 대웅전 위에 꼭 산신각을 세우는 것도
이 산신제의 내력을 살펴보면 매우 오래되었습니다,
기록에 의하면 신라는 이미 3산5악에,
그리고 고려는 송악산과 남산 등에 춘추로 산신제를 지냈는데,
이 풍속은 다음의 조선으로 이어져 내려와 국가의 태평을 비는 산신제로 맥을 이어 왔습니다.
지금도 이 풍속이 남아 있어 산을 다룰 때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 산신제를 지내고 있는 것 같습니다.
덧붙이자면,
불교가 사찰을 세울때 대웅전 위에 꼭 산신각을 세우는 것도
우리의 정통 신앙인 산신을 배제하고 정착하기 어려운 점이
가장 큰 이유일 것입니다.
가장 큰 이유일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