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주신

터주신

아리톡 0 81

터주신

지신이라고도 하며 터줏대감, 터대감, 토주, 후토주임, 대주, 터주가리, 터주지신이라 불린다.

집터를 맡아보며 집안의 액운을 걷어주고 재복을 주는 신이다.

터주에 대하여 "그 의식을 보면 쌀과 베를 오쟁이에 넣어 부엌 뒷벽에 달아두고 비단을 사 와서 그 척두를 잘라 볏집으로 신탁에 주렁주렁 매달아 마치 국수가게의 사지(絲紙)모양과 같이 만든다." 고도 하였다.

집의 뒤뜰 장독대 옆에 터주가리를 만들어 모시거나, 충청도에서처럼 터주단지, 청룡단지라고 불리는 작은 병이나 항아리로 모시기도 한다.

경북 또는 전남북에서는 현재 터주신앙이 흔하지 않으나 예전에는 보편적이었을 것이다.

중부지역, 특히 경기도에서는 현재도 터주신앙이 상당히 광범위하게 존재하는데, 주로 집 뒤뜰 장독대 근처에 터주신 내외분이라고 하여 두 개의 터주신을 모신다.

터주가리는 서너 되 들이의 공기나 질그릇 단지에 벼를 담고 뚜껑을 덮은 다음 그 위에 짚을 원추형으로 엮어서 덮는다.

매년 햇곡이 날 때마다 갈아넣는데,
이때 갈아낸 묵은 벼는 남을 주면 복이 나가기 때문에 반드시 가족들이 먹어야 한다.

햇벼로 갈아넣을 때 간단히 메를 지어 올리는 경우도 있다.

터주에게 올리는 제의로는 특별히 터주고사를 올리는 경우와 차례 때 떡을 한 접시 해서 바치는 경우가 있다.

경기도에서는 해마다 시월 상달에 햇짚으로 터주가리를 새로 만들고 주발에 햇곡을 담아서 넣은 연후에, 햇곡으로 팥시루떡을 쪄서 터주 앞에 놓고 터주고사를 지낸다.

단골이 와서 지내줄 때는 안당을 누르고 부정을 풀고 산을 모시고(산에 가서장군, 신장, 별상, 군웅을 논다) 성조, 제석, 대감, 조상, 창부서낭, 터굿, 뒷전의 순서로 터주고사를 하기도 한다.

전북지방에서는 한지에 쌀을 담아 안뜰에 묻어주고 봉토를 만드는 특이한 풍습도 있다.

터주를 위한 가장 큰 행사는 음력 정초에 벌이는 '지신밟기'이다.

악귀와 잡신을 몰아내고 가정의 평안과 마을의 번영을 맞기 위한 굿이다.
'마당밟기' '매구' '걸립'이라고도 한다.

풍물패를 앞세운 양반, 하동, 포수,머슴, 탈을 쓴 각시들이 줄을 이어 당산과 각 집을 돌며 복을 빌어준다.

제의는 가을에 길일을 택하여 터주가리의 단지 안에 들어 있는 묵은 쌀을 햅쌀로 갈아넣고, 묵은 쌀로 시루떡을 만들어 정화수와 함께 터주신 앞에 차려놓고, 집안의 주부(상어른)가 세 번 합장 고두하고 비손하는 것으로 끝낸다.

그 외 설날, 대보름날, 추석날에도 시루떡과 정화수를 터주가리 앞에 차려놓고 제의를 베풀기도 한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