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당기도터
굿당기도터
전국 유명 굿당기도터를 한눈에
앱에서 보기
굿당기도터
굿당/기도터
굿당/기도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대전
울산
광주
세종
경기
경남
경북
전남
전북
충남
충북
강원
제주
해외
기타
내주변
내주변 전체
무속영상
기도터후기
자유게시판
청배
청배
무업지원
무업지원
부동산/벼룩시장/구인구직
부동산
구인구직
벼룩시장
무당사전
무당사전
무속신앙
마을신앙
가정신앙
비방&비술
부적
경문
무속칼럼
무속칼럼
무속공부
메인
굿당/기도터
청배
무업지원
부동산/벼룩시장/구인구직
무당사전
무속칼럼
무당사전
비방&비술
부적
경문
검색어
검색
전체
무속신앙
마을신앙
가정신앙
무신
무구
제의
용어
제물
무속제의
제의장소
신체
굿당
신격
무악
무무
무복
제구
자료
무속신화
무속인명
무속문헌자료
무속신앙
포토
구분
제목
내용
소
[제물]
[마을](/topic/마을)신들에게 바쳐지는 통소는 모든 제수(祭需) 가운데 으뜸이다. 대개 도서(島嶼) 지방이나 내륙의 대규모 당제 및 성황제에 통소를 [제상](/topic/제상)에 올린다. 이러한 동제(洞祭)의 절차는 상당 부분이 소에게 집중되어 있고 상호 긴밀한 관계를 맺는다. 동제를 구성하는 문화복합(culture complex) 중심에 소가 자리하는 것이다.
통북어
[제물]
산신제, [장승제](/topic/장승제), 유황제 등 모든 민속 제의에서 빠지지 않고 사용되는 중요한 [제물](/topic/제물).
창호지
[제물]
주로 문을 바르는 데 쓰는 빛깔이 조금 누르스름하고 줄진 결이 있는 [한지](/topic/한지). 소지 명부를 작성하거나 [금줄](/topic/금줄), 서발심지, [신장대](/topic/신장대), [고깔](/topic/고깔), 깃발 등을 만드는 데 사용한다.
오색천
[제물]
[서낭당](/topic/서낭당) 및 미륵당의 나무나 미륵의 목에 감아 주거나 오색 또는 삼색 기(旗)를 만드는 데 사용하는 헌물용 천.
생떡국
[제물]
익반죽한 쌀가루를 [[가래](/topic/가래)떡](/topic/가래떡) 모양으로 빚어서 동그랗게 썰어 장국에 끓인 [떡국](/topic/떡국).
뼈매달기
[제물]
악귀나 [잡귀잡신](/topic/잡귀잡신)의 범접을 막고 재액과 질병의 침입을 막기 위해 당산이나 집의 [대문](/topic/대문)에 호랑이, 말, 소 등의 뼈를 걸어두는 일.
불밝이쌀
[제물]
제장에 불을 밝힐 목적으로 안치하는 쌀 또는 신령의 [흠향](/topic/흠향)(歆饗)을 위해 공물(供物)로 바치는 생미(生米).
봉지밥
[제물]
‘거리메기기’의 [제물](/topic/제물)로, 동제를 지낼 때 소지올리기를 마친 뒤 동제 제물을 조금씩 떼서 [한지](/topic/한지)로 싼 것.
백지
[제물]
산신제, [장승제](/topic/장승제), 유황제 등 모든 민속 제의에서 제신께 드리는 헌물. [제물](/topic/제물)을 싼다든가 진설할 때, 개인 및 대동소지를 올릴 때 사용한다.
목제남근
[제물]
소나무 등 나무를 깎아서 만든 모형 남근.
메밀
[제물]
도깨비가 메밀을 좋아한다는 사고방식이 반영된 [마을](/topic/마을)신앙이나 개인[고사](/topic/고사) 등에서 올리는 [제물](/topic/제물).
메
[제물]
유교식 제사에서 신위(神位) 앞에 놓는 밥을 부를 때 사용하는 말. [마을](/topic/마을) 제사나 굿 따위에서도 조상이나 망자를 위해 상에 놓는 밥을 메라고 부른다.
초기화
최신순
조회순
추천순
댓글순
정렬
목록
검색
1
2
3
4
5
Search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회원아이디
회원아이디(코)
글쓴이
글쓴이(코)
또는
그리고
검색어
필수
검색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