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당기도터
굿당기도터
전국 유명 굿당기도터를 한눈에
앱에서 보기
굿당기도터
굿당/기도터
굿당/기도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대전
울산
광주
세종
경기
경남
경북
전남
전북
충남
충북
강원
제주
해외
기타
내주변
내주변 전체
무속영상
기도터후기
자유게시판
청배
청배
무업지원
무업지원
부동산/벼룩시장/구인구직
부동산
구인구직
벼룩시장
무당사전
무당사전
무속신앙
마을신앙
가정신앙
비방&비술
부적
경문
무속칼럼
무속칼럼
무속공부
메인
굿당/기도터
청배
무업지원
부동산/벼룩시장/구인구직
무당사전
무속칼럼
무당사전
비방&비술
부적
경문
검색어
검색
전체
무속신앙
마을신앙
가정신앙
무신
무구
제의
용어
제물
무속제의
제의장소
신체
굿당
신격
무악
무무
무복
제구
자료
무속신화
무속인명
무속문헌자료
무속신앙
포토
구분
제목
내용
함경도 무속음악
[무악]
함경도 지역에서 전승되는 무속음악. 그러나 함경도의 무속음악이 알려진 것은 북청을 중심으로 하는 함경도 서남부 지역 무속음악뿐이고, 다른 지역의 무속음악 자료는 알려진 게 없어 불확실하다. 함경도 무가의 선율은 [메나리토리](/topic/메나리토리)가 주가 되고, 무의식 음악에 쓰이는 악기는 장구ㆍ징ㆍ바라 등이다. 무속음악 [장단](/topic/장단)에는 장구ㆍ절장구 등이 있으며, 소박이 2집합과 3집합으로 혼합되는 장단이 많다는 점에서 강원도ㆍ경상도의 동해안굿과 유사하다.
푸살
[무악]
경기도 남부 지역 세습무당의 굿거리 가운데 새성주굿에서 쓰이는 [장단](/topic/장단)의 하나.
푸너리
[무악]
동해안굿과 전라도 진도굿 오구굿 등에서 쓰이는 [장단](/topic/장단).
평안도 무속음악
[무악]
평안도 지역에서 전승되는 무속음악. 현재 평안도 무속음악으로 알려진 것은 평양 지역의 무속음악이다. 평양 출신의 이선호와 정대복이 연행한 것 외에 다른 지역 자료는 없다. 함경도 원산 출신 무당들이 무속음악을 공연한 적이 있다. 그들은 평양 출신 무당에게 무속음악을 배웠기 때문에 그것이 이선호와 정대복의 평양 무의식과 같았다. 현재 평양 이외에 평안도의 다른 지역, 특히 평안북도 무속음악 자료가 없어 평양 무속음악과 어떻게 다른지 알 길이 없다. 무의식 음악에는 장구ㆍ바라ㆍ징 등 악기가 주로 쓰이며, 3소박 4박 [장단](/topic/장단)이 많다는 점에서 황해도와 유사하고 다른 지역과 다르다.
터벌림
[무악]
[경기도도당굿](/topic/경기도도당굿)의 절차 가운데 하나.
취타
[무악]
서울ㆍ경기 지역의 굿에서 사용되는 [무악](/topic/무악). 비교적 규모가 큰 [서울새남굿](/topic/서울새남굿), 서울진오귀굿, [경기도도당굿](/topic/경기도도당굿)에서 연주한다. 굿 연행에 있어서 길군악, 길타령 등과 함께 행악(行樂)으로 사용된다. 서울새남굿과 진오귀굿의 ‘별상거리’ 및 ‘도령거리’, 경기도도당굿의 ‘돌돌이-장문잡기’라는 의식에서 취타가 연주된다.
천근소리
[무악]
전라도 씻김굿과 [남해안별신굿](/topic/남해안별신굿)에서 불리는 무가. 씻김굿에서는 오구굿, 넋올리기, 씻김같이 망자와 관련된 굿거리의 끝 부분에 부른다. 남해안별신굿에서는 말미, 대너리, 염 등에 이어 천근을 부른다.
쪼시개
[무악]
동해안 오구굿에서 쓰이는 무가 또는 [장단](/topic/장단)의 한 종류. 오구굿의 초망자굿에서 부르는 무가와 반주 장단을 지칭한다.
진쇠
[무악]
경기도 남부 지역 세습무당의 굿에서 제석굿에 쓰이는 [장단](/topic/장단) 가운데 하나. 간혹 군웅굿과 새남굿에서 쓰인다고도 하지만 어느 굿거리에서 나왔는지 모호한 경우도 있다.
중디밧산
[무악]
[서울새남굿](/topic/서울새남굿) 가운데 망자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절차.
조너리
[무악]
동해안굿에서 경남 지역의 문굿과 장수굿에서 사용되는 [장단](/topic/장단).
제석노래채
[무악]
잔삭다리굿에서 푸너리 다음에 부르는 무가로 제석님을 청하여 오신(娛神)하는 내용이다.
초기화
최신순
조회순
추천순
댓글순
정렬
목록
검색
1
2
3
4
5
Search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회원아이디
회원아이디(코)
글쓴이
글쓴이(코)
또는
그리고
검색어
필수
검색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