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당기도터

포토 제목 내용
  • 황해도굿 무복 [무복]
    황해도 강신무가 굿을할 때 입는 옷.
  • 호남굿 무복 [무복]
    호남 지역 세습무인 [단골](/topic/단골)이 굿을 할 때 입는 옷. 호남굿에서 세습무는 제의를 주관하는 사제이기 때문에 전통적인 [한복](/topic/한복) [치마](/topic/치마)저고리를 기본적으로 착용한다. 제석신을 상징하는 거리에서는 당골에 따라 [장삼](/topic/장삼)이나 홍색 대대, [고깔](/topic/고깔)을 착용하기도 한다.
  • 함경도굿 무복 [무복]
    함경도 지역의 무당이 굿을 할 때 착용하는 [의복](/topic/의복).
  • 평안도굿 무복 [무복]
    평안도 [다리굿](/topic/다리굿)을 할 때 착용하는 [무복](/topic/무복).
  • 쾌자 [무복]
    서울굿의 신장거리나 대감거리 등에서 굿을 할 때 착용한 복식.
  • 충청도 독경무복 [무복]
    충청 지역 앉은굿인 독경에서 [법사](/topic/법사)가 굿을 할 때 입는 옷. 법사는 [무복](/topic/무복)으로 [한복](/topic/한복)[저고리](/topic/저고리)와 [바지](/topic/바지)를 입고 그 위에 포(袍)를 걸친다. 머리에는 갓이나 [한지](/topic/한지)로 접은 [고깔](/topic/고깔)을 쓴다.
  • 철릭 [무복]
    상의와 하의를 따로 [마름](/topic/마름)하여 허리에 연결시킨 포(袍).
  • 제주굿 무복 [무복]
    제주굿에서 입는 [무복](/topic/무복). 제주굿 중 강신무에서는 모시는 신과 연행하는 거리마다 [만신](/topic/만신)들이 그 신 자체가 되기 때문에 신의 성격, 위계에 따라 조선시대의 문관·무관·여관들의 복식을 입는다. 병을 고치는 추는굿에서는 심방의 역할이 복식을 통해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한복](/topic/한복)을 입어도 평상복으로 착용한다. 그래서 [저고리](/topic/저고리)와 [바지](/topic/바지)만 입기도 하고 [두루마기](/topic/두루마기)를 더 입기도 한다.
  • 전복 [무복]
    소매와 깃이 없으며, 겹쳐 입지 않는 맞임의 옆선과 뒤 중심선이 트인 [조끼](/topic/조끼)형태의 긴 옷.
  • 장삼 [무복]
    서울굿에서 착용하는 장삼은 불교의 법의인 장삼을 본 따 만들어 [무복](/topic/무복)으로 착용한 것으로 어깨와 허리에 승려의 법의인 [가사](/topic/가사)를 의미하는 붉은색 띠를 함께 두른다.
  • 원삼 [무복]
    현대 굿거리에서 무당이나 굿의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주신을 상징하기 위해 호구거리나 창부거리에서 착용.
  • 서울굿 무복 [무복]
    서울굿에서 강신무인 무당의 몸에 내린 신을 상징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복식.

67a4846d7e4fc39aeec366b8ca3876e7_1674945862_9983.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