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당기도터

포토 제목 내용
  • 혼베 [무구]
    호남 지역의 무속의례에서 객사한 망자의 혼을 맞아오는 길 혹은 다리로 상징되는 천으로 씻김굿이나 넋건지기굿 등의 망자천도굿에서 사용되는 무구다. 혼을 맞아오는 길의 의미하지만, 혼을 보내는 [길베](/topic/길베)와 반대의 개념이다.
  • 허개등 [무구]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과 [동해안오구굿](/topic/동해안오구굿)에서 사용하는 굿당 장식물의 하나. 허개등은 대나무를 뼈대로 하고 그 위에 오색 화지를 붙여 굿당 바깥쪽 높은 곳에 매달아놓은 등이다. 흑애등, 학애등, 흐개등, 후개등으로도 일컫는다. 허개등은 걸어놓은 괘등(卦燈)의 하나로 허공에 매단 등이라고 해서 허괘등(虛卦燈)이라고 하거나, 불교의 지화장엄에서 유래한 등이란 의미에서 화개등(花蓋燈)일 가능성이 있다.
  • 해미광대탈 [무구]
    [남해안별신굿](/topic/남해안별신굿)에서 연행되는 굿탈놀이의 핵심등장인물인 해미광대가 쓰는 탈.
  • 할미가면 [무구]
    동해안 지역의 무속적 [마을](/topic/마을)굿인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에서 [탈굿](/topic/탈굿)을 연행할 때 사용되는 종이가면. 할미탈이라고도 부르는데 탈굿 속에서 할미 역할을 맡는 화랭이가 쓴다. 본능적이며 축제화된 할미를 형상화하는데 할미가면은 중요한 기능을 맡는다.
  • 팔문금쇄진 [무구]
    앉은굿 [법사](/topic/법사)가 환자치료를 위한 [병경](/topic/병경)을 할 때 잡귀를 쫓아내기 위하여 경청 [천장](/topic/천장)에 여덟 가닥으로 장식한 종이 무구.
  • 통기 [무구]
    [창호지](/topic/창호지)를 오려 통 모양으로 만든 깃발. 통기는 그 모양이 통 모양의 깃발인 데서 비롯되었다. 크기에 따라 대통기, 소통기라고 하지만 대개 통기라고 하면 대통기를 말한다.
  • 탑등 [무구]
    굿당 좌측에 매달아 놓는 굿당 장식물로 굿이 진행되는 동안 굿당의 위엄을 지킨다.
  • 타살칼 [무구]
    굿에서 사용하는 무구의 하나. ‘군웅칼’, ‘군웅할아버지칼’이라고도 한다.
  • 큰대 [무구]
    제주 무속제의 중 ‘[사당](/topic/사당)클’을 매어 하는 큰굿을 할 때 [마당](/topic/마당)에 세우는 큰 깃대.
  • 칠쇠방울 [무구]
    서울굿에서 쓰이는 방울이 7개 달린 무구로, 구비전승 과정에서 와전되어 ‘쥘쇠방울’이라고도 불린다.
  • 칠성방울 [무구]
    놋쇠로 된 긴 쇠막대의 끝에 일곱 개의 방울이 매달린 무구(巫具).
  • 칠성검 [무구]
    황해도굿에서 사용하는 [신칼](/topic/신칼)의 하나로 칠성거리에서 [칠성신](/topic/칠성신)의 위력을 보이는 무구. 얇고 긴 형태에 일곱 개의 별이 새겨져 있어서 칠성검이라고 불린다. 칠성검은 일월도라 부르기도 한다.

67a4846d7e4fc39aeec366b8ca3876e7_1674945862_9983.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