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당기도터
굿당기도터
전국 유명 굿당기도터를 한눈에
앱에서 보기
굿당기도터
굿당/기도터
굿당/기도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대전
울산
광주
세종
경기
경남
경북
전남
전북
충남
충북
강원
제주
해외
기타
내주변
내주변 전체
무속영상
기도터후기
자유게시판
청배
청배
무업지원
무업지원
부동산/벼룩시장/구인구직
부동산
구인구직
벼룩시장
무당사전
무당사전
무속신앙
마을신앙
가정신앙
비방&비술
부적
경문
무속칼럼
무속칼럼
무속공부
메인
굿당/기도터
청배
무업지원
부동산/벼룩시장/구인구직
무당사전
무속칼럼
무당사전
비방&비술
부적
경문
검색어
검색
전체
열린 분류
무속신앙
마을신앙
가정신앙
무신
무구
제의
용어
제물
무속제의
제의장소
신체
굿당
신격
무악
무무
무복
제구
자료
무속신화
무속인명
무속문헌자료
무속신앙
포토
구분
제목
내용
할배까꾸재
[신체]
[가신](/topic/가신)(家神)신앙의 한 종류로, 골맥이할배를 모셔 놓은 신체.
할미가면
[무구]
동해안 지역의 무속적 [마을](/topic/마을)굿인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에서 [탈굿](/topic/탈굿)을 연행할 때 사용되는 종이가면. 할미탈이라고도 부르는데 탈굿 속에서 할미 역할을 맡는 화랭이가 쓴다. 본능적이며 축제화된 할미를 형상화하는데 할미가면은 중요한 기능을 맡는다.
할망상
[제물]
산신인 삼승할망을 위하여 차린 상.
한지
[신체]
[가신](/topic/가신)(家神)으로 모셔지는 흰 종이.
한라산신제
[제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라동에 있는 산천단에서 한라산 산신에게 지내는 제사.
학질떼기
[제의]
모기가 옮기는 학질을 치료하기 위한 주술적 민간요법. 학질은 지역에 따라 하루살이, 하루걸이, 초학, 초짐, 쇠할애비, 메느리심, 메느리고금이라고도 부른다.
하직굿
[무속제의]
제주 지역에서 무업을 하던 심방이 나이가 들어 무업을 그만두기 위하여 신에게 고하는 굿. 하직굿을 달리 ‘하직제’라고도 한다. 하직굿의 하직은 한자어 ‘하직(下直)’에서 비롯된 말이다.
하지굿
[무속제의]
자식들이 부모가 건강하고 장수하기를 빌며, 사후에도 극락왕생하길 기원하는 굿.
하로산또
[신격]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호근동과 서호동 및 표선면 가시리 안좌동, 제주시 성산읍 수산리와 시흥리 및 신양리 등지에서 모셔지는 [마을](/topic/마을) 본향당신. ‘하로산’은 한라산을 의미하며, ‘또’는 남성 신격을 의미하는 존칭접미사이다. 이에 따라 하로산또는 한라산을 남성 신격화한 당신 명칭이다. ‘한라산님’ 또는 ‘한라산 신령님’의 의미를 지닌다.
하기
[용어]
제의가 끝난 다음 제의에 사용된 비용 및 기타 사항에 관한 결산을 기록해 놓는 장부.
푸살
[무악]
경기도 남부 지역 세습무당의 굿거리 가운데 새성주굿에서 쓰이는 [장단](/topic/장단)의 하나.
푸닥거리
[무속제의]
잡귀에 의해 살이 들거나 부정한 것이 들어와서 병이 들었다고 생각되는 경우에 이를 쫓기 위해 행하는 작은 규모의 무속제의.
초기화
최신순
조회순
추천순
댓글순
정렬
목록
검색
1
2
3
4
5
Search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회원아이디
회원아이디(코)
글쓴이
글쓴이(코)
또는
그리고
검색어
필수
검색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