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당기도터
굿당기도터
전국 유명 굿당기도터를 한눈에
앱에서 보기
굿당기도터
굿당/기도터
굿당/기도터
서울
부산
대구
인천
대전
울산
광주
세종
경기
경남
경북
전남
전북
충남
충북
강원
제주
해외
기타
내주변
내주변 전체
무속영상
기도터후기
자유게시판
청배
청배
무업지원
무업지원
부동산/벼룩시장/구인구직
부동산
구인구직
벼룩시장
무당사전
무당사전
무속신앙
마을신앙
가정신앙
비방&비술
부적
경문
무속칼럼
무속칼럼
무속공부
메인
굿당/기도터
청배
무업지원
부동산/벼룩시장/구인구직
무당사전
무속칼럼
무당사전
비방&비술
부적
경문
검색어
검색
전체
무속신앙
열린 분류
마을신앙
가정신앙
무신
무구
제의
용어
제물
무속제의
제의장소
신체
굿당
신격
무악
무무
무복
제구
자료
무속신화
무속인명
무속문헌자료
무속신앙
포토
구분
제목
내용
청주선도산장승제
[제의]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월오동 서원말에서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을 기해 올리는 장승제. 흔히 ‘선도산 할아버지 할머니 장승제’라고 한다.
청원옥화리산사계문서
[자료]
충청북도 청원군 미원면 옥화리에서 전승되고 있는 산신제 및 [탑제](/topic/탑제)의 경제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19세기 중반에 결성한 [동제계](/topic/동제계)(洞祭禊) 관련 문서.
청양청소리산신제문서
[자료]
20세기 초부터 2006년까지 충청남도 청양군 청남면 청소리의 산신제 의례절차와 이를 주관하는 동계(산제계)의 운영내력을 기록한 문서.
청양정산동화제
[제의]
청양군 정산면 송학리에서 해마다 음력 정월 열나흗날 저녁에 [동화대](/topic/동화대)에 불을 놓아 [마을](/topic/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의례. 거대한 화목(火木)을 불사르는 행위로 마을에 깃든 액운과 재앙을 소멸한다는 상징성을 띠는 동화는 ‘동네불’이란 뜻을 지니고 있으며, 달집태우기와는 구분된다. 정산동화제는 제29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 출전하여 문화공보부장관상을 받았으며, 1989년 12월 29일에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9호’로 지정되었다.
청도비동당제
[제의]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금곡리 비동[마을](/topic/마을)의 당제. 금곡리는 청도지역에서 비교적 크고 부유했으며 천왕기의 세력도 가장 강했다고 알려진 마을이었으나 사회 변동 속에서 당제가 크게 변화하게 되었다.
청단일
[용어]
[마을](/topic/마을)제사를 지낼 [제관](/topic/제관)을 뽑는 날.
철마
[신체]
철로 만든 말의 형상으로 [마을](/topic/마을) 제당에 모셔지는 신격.
천왕메기
[제의]
대구광역시 서구 비산동 일대 주민들이 동제당인 천왕당에서 옛날부터 신(神)으로 받들어 온 기천왕, 중천왕, 말천왕에게 매년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에 해 오는 지신풀이. 1989년 6월 15일에 ‘천왕메기’라는 명칭으로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제4호’로 지정되었다.
천상제
[제의]
신라와 고려시대에 홍수나 가뭄이 있을 때 하천 상류에서 백신(百神)에게 지낸 제사.
천군
[용어]
삼한(三韓)시대에 천신(天神)에게 제사 지내는 일을 맡아보던 제사장(祭司長).
창호지
[제물]
주로 문을 바르는 데 쓰는 빛깔이 조금 누르스름하고 줄진 결이 있는 [한지](/topic/한지). 소지 명부를 작성하거나 [금줄](/topic/금줄), 서발심지, [신장대](/topic/신장대), [고깔](/topic/고깔), 깃발 등을 만드는 데 사용한다.
창귀
[신격]
호식을 당해 죽은 사람의 귀신. 창귀는 범의 노예가 되어 항상 곁에 붙어 다니면서 시중을 들고 식사를 책임지며 길 안내를 맡는다.
초기화
최신순
조회순
추천순
댓글순
정렬
목록
검색
1
2
3
4
5
Search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회원아이디
회원아이디(코)
글쓴이
글쓴이(코)
또는
그리고
검색어
필수
검색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