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양굿 문서
아리톡
0
132
2024.08.13 23:08
한양굿 문서는 구파발본, 노들본, 각심절본 등으로 알려져 있다.
무교의 제(祭)의식, 즉 굿을 보면 각 지역 또는 마을 마다 다른 성향의 굿문서가 전승되어 지역마다 의식을 거행 하는데 있어서 많은 차별성을 찾아 볼 수 있고 미세하지만 계파별로 독특한 차이점을 찾아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같은 지역에서 무업을 하고 있어도 굿을 진행 하는 당주가 어느 계파에 소속되어 있는지에 따라 굿을 진행 하는 과정에서 차별성을 찾을 수 있다. 즉 어느 문중의 굿 문서를 배우고 학습 하여는 지에 따라 문중만의 독특한 색체를 보이면서 그들만의 굿 법도대로 굿을 진행 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된다.
물론 한양 굿에서도 지역마다 마을 마다 굿의 형식이나 절차에서 차이점을 찾아 볼 수 있다.
그렇게 차별화 된 굿문서 중에 한양 굿의 기본 틀이 되는 굿문서는 구파발본 문서, 노들본 문서, 각심절본 문서라 할 수 있다.
앞에서 열거한 문서 마다 독특한 굿문서와 더불어 자랑하는 굿 의식이 있다.
구파발본 문중에서는 새남굿(진오기굿)을 으뜸으로 치고,
노들본 문중에서 도당굿(마을단위의 굿, 산신제)을 으뜸으로 자부하고,
각심절본 문중 에서는 천신굿(재수굿)을 최고로 자부 한다.
세 문서들 중 구파발본 무가(巫家)가 한양굿 에서는 세력이 가장 크고,
그 다음으로는 노들본 무가(巫家)가 차지하고 마지막으로 각심절본 무가(巫家)가 된다.